AWS EC2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나면, 외부에서 해당 서버에 접속해야 합니다.
이 글에서는 Windows PowerShell과 macOS 터미널에서 .pem 키 파일을 사용하여
EC2에 접속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합니다.
🛠 준비물
- AWS에서 생성한 EC2 인스턴스
- EC2 생성 시 함께 받은 .pem 키 파일 (예: your-key.pem)
- EC2의 퍼블릭 IP 주소 또는 퍼블릭 DNS
🖥 Windows PowerShell에서 EC2 접속하기
✅ 1. 키 파일 권한 설정
PowerShell 실행 후:
icacls "C:\경로\ your-key .pem" /inheritance:r icacls "C:\경로\ your-key.pem" /grant:r "현재사용자계정:R"
- "현재사용자계정"은 whoami 명령어로 확인 가능
예시:
icacls "C:\Key\malgage-key.pem" /grant:r " UserName :R"
✅ 2. SSH 접속 명령어 실행
ssh -i "C:\경로\your-key.pem" ec2-user@<EC2 퍼블릭 IP>
- Amazon Linux: ec2-user
- Ubuntu: ubuntu
예시:
ssh -i "C:\key\your-key.pem" ec2-user@12.34.567.8
🍎 macOS 터미널에서 EC2 접속하기
✅ 1. 키 파일 권한 설정
chmod 400 ~/Downloads/your-key.pem
✅ 2. SSH 접속
ssh -i ~/Downloads/your-key.pem ec2-user@<EC2 퍼블릭 IP>
예시:
ssh -i ~/Downloads/your-key.pem ec2-user@12.34.567.8
❗ 접속 오류가 날 때 체크리스트
문제해결 방법
Permission denied | 키 파일 권한 문제 → chmod 400, icacls 확인 |
Timed out | EC2 보안 그룹에 **포트 22(SSH)**가 열려 있는지 확인 |
Host not found | 퍼블릭 IP/DNS 오타, 인스턴스 꺼져 있음 확인 |
✅ 마무리
EC2에 접속이 성공하면 아래처럼 접속 메시지가 보이게 됩니다:
, #_
~\_ ####_ Amazon Linux 2023
~~ \_#####\
~~ \###|
~~ \#/ ___ https://aws.amazon.com/linux/amazon-linux-2023
~~ V~' '->
~~~ /
~~._. _/
_/ _/
_/m/'
'Back-End > 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EC2] 🚀 AWS EC2에서 Spring Boot application.yml 수정하기 (0) | 2025.08.17 |
---|---|
[EC2/RDS] 💡 로컬 PC에서 EC2를 통해 AWS RDS에 포트포워딩으로 접속하는 방법 (1) | 2025.08.06 |
[EC2] ✅ EC2 인스턴스 재시작 후 바뀐 퍼블릭 IP 처리 방법 (GitHub Actions) (0) | 2025.08.06 |
[EC2] Spring Boot 프로젝트 EC2 + Docker 배포 및 GitHub Actions 자동화 (1) | 2025.08.06 |
[EC2] EC2에 application.yml 업로드하기 (Windows & macOS) (0) | 2025.08.05 |